ITHINK/HOUSE

015 레버지리(leverage)

&bit 2021. 1. 19. 21:00

모은 종자돈 4000원으로 빌린돈 6000원을 받아 10,000원 짜리 집을 사서 다시 전세금 6000원을 받아서 집을 세놓았다. 집1채에 현금 6000원이 생겼다. 6000원으로 다시 집을 사서 3600원으로 전세금을 받고 집을 세놓았다. 이제 집 2채에 현금 3600원이다. 다시 3600원으로 집을 사서 2160원으로 전세금을 받고 집을 세놓았다. 이제 집 3채에 현금 2160원이 있다. 이제 2160원으로 집을 사서(BUY) 산다(LIVE).

 

돈 비율

집 번지

1

2

3

4

소유권

거주지

×

×

×

자기자본

40%

모은돈

4000

2400

1440

2160

타인자본

60%

전세금

6000

3600

2160

0

집값

10000

6000

3600

2160

 

 

 

 

 

모든 집값이 60% 올랐다.

16000

9600

5760

3456

 

 

 

 

 

매각

실현이익

-

오른 집값에서 전세금을 빼고 팔았다.

10000

6000

3600

-

총이익

19600

-

 

집값이 오르기만 한다면, 전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면, 집을 소유하는데 제한이 없다면, 집을 팔 때 세금이 없다면, 내가 사는 집은 3456원 짜리가 되었고, 나는 19600원의 현금이 있다. 가장 비싼 집 16000원을 살 수 있으며, 가장 비싼 집을 사는 것을 목표로 할 때, 종자돈과 전세금 비율이 변하지 않고, 모든 집값이 22.5%가 오른다면 집1,2,3을 일단 매각하고 나서 빚 없이 집1을 사서 집4에서 집1으로 이사갈 수 있다.

 

전세금 비율이 99%인 전세를 낀 집을 40채를 샀다면 그리고 모든 집을 다 팔 수 있다면,  모든 집값이 2%정도만 올라도 되니, 집값이 계속 오른다면 또는 오를 이유만 많다면, 그리고 전세를 계속 유지하게 하고, 집을 소유하는제 제한이 없고 팔 때 세금을 조금 낸다면, 전세로 살려는 사람이 더 많다고 하면, 집은 최대한 많이 가질수록 좋다.